※ 강의 중 나에게 필요한 부분 위주로 요약하고 표를 만들어 보았다.
한국의 표준시=경도(세로줄=날줄) 135도 기준
한국의 경우 표준시의 경도와 실제 한국의 위치가 달라 표준시와 해시계(실제 태양의 고도를 반영한 시간)의 차이가 큼▶그 차이는 대략 30분이며 시계바늘상의 시간이 태양보다 30분 빠르므로 사주의 시간을 산출할 때 이 시간을 고려하여 +30분을 반영해야 함.(예를 들면 午시는 11시~1시이지만 한국기준으로는 11시30분~1시30분이된다.)
균시차-지구의 한 위치에서 관찰자가 느끼는 태양의고도의 변화(속도)는 크게 보면 매우 안정적이며 일정하게 보이지만, 그 안에서는 미세한 변화가 있다.
그 이유는 지구 공전궤도가 타원형인 이유, 자전축의 기울기 영향 등이다 . 보통 ± 15분의 차이발생함.
[오행과 지지 그리고 절기 등]
오행
|
목오행
|
화오행
|
금오행
|
수오행
|
||||||||
계절
|
봄
|
여름
|
가을 |
겨울
|
||||||||
지지
|
인 寅
|
묘
卯 |
진
辰 |
사
巳 |
오
午 |
미
未 |
신
申 |
유
酉 |
술
戌 |
해
亥 |
자
子 |
축
丑 |
절기
|
입춘
|
경칩
|
청명
|
입하
|
망종
|
소서
|
입추
|
백로
|
한로
|
입동
|
대설
|
소한
|
양력(월)
|
2월
|
3월
|
4월
|
5월
|
6월
|
7월
|
8월
|
9월
|
10월
|
11월
|
12월
|
1월
|
한국시간
|
오전
3:30~5:30 |
5:30~7:30 |
7:30~9:30 |
9:30~11:30 |
11:30~1:30
|
1:30~3:30
|
오후
3:30~5:30 |
5:30~7:30
|
7:30~9:30
|
9:30~11:30
|
11:30~1:30
|
1:30~3:30
|
[지장간의 이해]-지장간과 연결해서 지지 살피기(기존 지장간표)


새로운 지장간의 이해-진춘익 선행의 새로운 관점

支藏干이란 지지에 투영된 (감추어진) 천간의 기운을 말함
[새로운 지장간의 이해]
-대만 명리학자 진춘익 선생의 새로운 지장간 관점 기준으로 표를 만들어 보았음
오행
|
목오행
|
화오행
|
금오행
|
수오행
|
|||||||||
계절
|
봄
|
여름
|
가을 |
겨울
|
|||||||||
지지
|
인 寅
|
묘
卯 |
진
辰 |
사
巳 |
오
午 |
미
未 |
신
申 |
유
酉 |
술
戌 |
해
亥 |
자
子 |
축
丑 |
|
절기
|
입춘
|
경칩
|
청명
|
입하
|
망종
|
소서
|
입추
|
백로
|
한로
|
입동
|
대설
|
소한
|
|
양력(월)
|
2월
|
3월
|
4월
|
5월
|
6월
|
7월
|
8월
|
9월
|
10월
|
11월
|
12월
|
1월
|
|
지
장 간 |
여기
|
|
|
을(6)
|
|
|
정(6)
|
|
|
신(6)
|
|
|
계(6)
|
중기
|
병(8)
|
|
계(9)
|
경(9)
|
|
을(9)
|
임(9)
|
|
정(9)
|
갑(9)
|
|
신(9)
|
|
본기
|
갑(20)
|
을(30)
|
무(15)
|
병(21)
|
정(30)
|
기(15)
|
경(21)
|
신(30)
|
무(15)
|
임(21)
|
계(30)
|
기(15)
|
※1달 30일 기준으로 여기(20% 6일), 중기(30% 9일), 본기(50% 15일)
※인월(寅月)은 28일로 보고 8일,20일로 나누었음
'명리의 눈으로 보는 세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春分에 생각나는 그리운 이름 (0) | 2025.03.24 |
---|---|
현묘의 사주명리 입문(8강) 지지(지장간의 이해) (1) | 2025.03.24 |
현묘의 사주명리입문 6강 천간(기토~계수)(2강) (1) | 2025.03.05 |
현묘의 사주명리 입문 제5강 천간(갑목-계수)(1) (2) | 2025.02.26 |
현묘의 사주명리 입문강의 실강2(25. 2. 20.) 질문과 답변 요약 (0) | 2025.02.24 |